키워드 광고를 시작하기에 앞서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는 것은 어떤 키워드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그런 키워드에 대한 속성을 다 말씀드리기엔 정말 많은 업종들이 있고 그 업종별로 사용하는 키워드도 너무 다양하기 때문에 가장 본질적인 기준에 따라 키워드를 분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키워드 분류
그렇다면 키워드 분류는 왜 해야 할까요?
처음에는 몇개의 키워드로 관리와 운영이 되겠지만 키워드가 쌓이고 관리적인 부분에서 리스크가 발생하면 안 되겠죠?
처음부터 분류를 통해서 키워드를 관리한다면 몇 천 개, 몇만 개의 키워드 관리도 문제가 없으리라 봅니다.
분류 방법은 4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
BRAND KEYWORD
브랜드 키워드란 자신이 광고하고자 하는 해당 브랜드 네임이 포함되어 있는 키워드를 말합니다.
예: 아이폰 13 pro 가격 , 갤럭시 노트 8 출시일
[특징] 전환율의 효율이 크고 경쟁관계가 치열하지 않은 편이라 CPC(Click per Cost)가 낮습니다.서로의 경쟁사 키워드를 사용하여 전환율을 높이고자 경쟁사들의 사용이 잦습니다.사용 가능한 키워드의 풀은 낮은 편입니다.
GENERIC KEYWORD
글로벌적으로 많이 쓰는 단어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대표 키워드로 불린다.
브랜드 키워드와 가장 반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추상적이고 가장 포괄적인 키워드를 말합니다.
예: 낚시, 낚시 포인트
[특징]
누구나 검색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검색 수가 개별 키워드 트래픽으로 업종 최고치를 찍을 수 있습니다.
전환율은 가장 낮고 경쟁 입찰이 많이 일어나 CPC 단가가 높기때문에 예산관리가 필요합니다.
RRODUCT KEYWORD
가장 많이 쓰이는 제품과 서비스에 대해 작성한 키워드입니다.
예: 여름 낚시, 여름에 가기 좋은 거제도 낚시
[특징]
업종 공통으로 가장 넓은 키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제네릭 키워드부터 롱테일 키워드 속성까지 포함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키워드는 브랜드 스크럽이 되기 떄문에 경쟁입찰이 낮은 편이고 제네릭 키워드는
입찰이 치열합니다.브랜드와 제네릭 키워는 입찰 상황이 비슷한 경우가 많은데 PRODUCT KEYWORD는어떻게 확장하여 키워드를 만드냐에 따라 변수가 많습니다.
ISSUE KEYWORD
프로모션이나 이벤트로 인해 생성된 키워드를 말합니다.
예: 중국 올림픽 게스트하우스, 12월 블랙프라이데이
[특징]
특정 타이밍과 시즌에만 운영하여 준비를 미리 하는 것이 관건입니다.전환율은 케이스에 따라 달라고 세일즈 목적인지 브랜딩 목적인지에 따라 결과도 달라집니다.지속적인 라이브보다는 해당 기간 동아만 라이브로 진행하는 것이 경쟁률이 높습니다.
'마케팅의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소의 광고효율을 위한 하루 광고비 책정방법 (0) | 2022.06.04 |
---|---|
콘텐츠 타겟팅의 종류와 특성 (0) | 2022.05.26 |
사용자 타겟팅의 종류 및 특성 (0) | 2022.05.25 |
구글 타겟팅 광고 종류 (0) | 2022.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