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계자료로 디지털 마케팅 광고비 책정하기
평균적인 마케팅 예산의 55%정도가 디지털 영역에 사용되고 있다.
2022년에는 국내 광고비 총액이 152,800(단위:억원) 중 디지털 영역이 85,220(57%)으로 추정된다.
2.구글이나 페이스북의 광고비 기준으로 책정하기
통계자료 이외에 광고매체 기준으로 예산을 세울수도 있다.
구글과 페이스북은 광고 최적화에 필요한 가이드라인을 정해놓고 있으니 참조해보면 좋다.
-페이스북 전환 광고
광고가 머신러닝의 단계를 통과하려면 일주일 동안 최소 50회 이상의 이벤트가 생길 수 있는 예산을 책정해놔야 한다.
-구글 스마트 자동입찰 광고
광고 결과를 정확하게 통계를 내려면 전환 이벤트가 최소 30회 이상, 타겟광고일 경우 전환수 50회이상이 기록된 30일 이상에 걸쳐 실적을 통계화 해보는 것이 정확하다.
업종이나 산업별로 전환의 기준을 천차만별로 다양한데 30회 혹은 50회 이상의 전환수를 발생되게 하려면 예산이 얼마나 필요할지 예를 들어 판매되는 발생수를 전환으로 잡아 계산해보겠다.
구매 1회시 발생비용: 3만원이라 정하고
-페이스북의 광고 최적화에 필요한 전환수는 50회x3만원으로 150만원의 비용 발생
기간은 일주일이라 잡고 150만원 / 7일= 214.285의 일예산으로 소요
-구글 광고에 필요한 전환수는 30회x3만원으로 90만원의 비용 발생
기간은 1달로 90만원 / 30일 = 3만원의 일예산으로 소요
이 비용 수치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기본 평균값이라 보면 되고, 실제로 광고를 집행할 때는 브랜드의 인지도나 타겟팅에 따라 변할 수 있음을 고려하자.
'마케팅의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텐츠 타겟팅의 종류와 특성 (0) | 2022.05.26 |
---|---|
사용자 타겟팅의 종류 및 특성 (0) | 2022.05.25 |
구글 타겟팅 광고 종류 (0) | 2022.05.24 |
키워드 속성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