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케팅의 이것저것

사용자 타겟팅의 종류 및 특성

by 소행땅 2022. 5. 25.

오늘은 지난 시간 포스팅되었던 구글 타겟팅 광고 종류에 이어 사용자 타겟팅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용자대상 타겟팅

타겟팅 유형 중 잠재고객(구매의도, 관심분야,상호작용)의 대상은 콘텐츠가 아니라 사용자들입니다. 
사용자들을 구매의도 및 관심분야, 상호작용에 따라 이들을 분류 대상으로 광고 노출의 범위를 정하는 것이 사용자대상 타겟팅입니다. 

1. 관심분야 잠재고객
관심분야 고객에 대한 분류는 특정 브랜드나 상품에 대해 관심을 보여 온 사용자이다.
관심고객의 니즈를 추정하는 기준은 브랜드나 상품, 서비스, 유사 키워드 검색 활동, 관련 웹이나 동영상 콘텐츠의 검색, 모바일 앱설치 등이 된다.

2. 구매의도 잠재고객
구매의도에 대한 고객분류는 관심 단계를 넘어 구매 단계에서 행동을 실현하는 사용자로 분류한다.
관련상품이나 서비스 광고클릭, 구매나 회원가입등의 전환율, 온라인 구매행동 등을 한 사용자를 구매의도 잠재고객으로 본다.

 3. 리타겟팅 잠재고객
리타겟팅 고객 분류는  광고 게시된 웹사이트를 클릭했거나 특정한 행동을 한 사용자의 분류이다.

상품 페이지 조회나, 장바구니 상품 담기나 구매를 클릭한 사용자, 결제를 완료하여 정보 전송한 사용자 등이  리타겟팅에 포함된다.

단순히 웹사이트 클릭이나 방문한 사용자 전체를 리타겟팅 분류로 목록화 할수 있겠지만, 사용자의 행동패턴에 따라 광고의 상호작용 반응이 달라지므로 리타겟팅 분류 목록을 세분화 필요가 있다.

웹사이트 재방문자는 관심분야나 구매의도 잠재고객에 비교해 브랜드나 상품에 대한 관심이 가장 많은 사람들이다.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아두고 결제는 안해도 구매하기를 클릭한 사용자 분류는 구매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볼 수 있다.  행동패턴에 따른 잠재고객을 따로 분류 목록화하여 그들의 구매의도에 따라 차별화된 광고를 게시 하는 것이 리타겟팅 광고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4. 맞춤 관심분야에 따른 맞춤 의도

구글의 구매의도나 관심분야 카테고리보다 정확하고 세부적인 타겟팅을 해야할 때  광고주가 직접 카테고리를 생성하는 방식이다.

예시로 캠핑용품을 판매하는 쇼핑몰을 홍보할때, 구글광고에서 제공해 주는 캠핑용품의 키워드를 타겟팅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캠핑용품에 관심 있는 사용자들은 텐트 뿐만 아니라 조명, 식자재의 키워드들을 포함하니 좀 더 넓은 타겟팅 방법 중 하나이다.

더 직접적인 타겟팅 광고를 진행할 때 해당의 타겟팅을 사용한다.

 광고주가 키워드나 웹사이트 URL, 앱 이름 등을 제공하면 구글이 이 데이터를 토대로 관련성 있는 사용자를 타겟팅합니다. 

관심분야의  키워드를 타겟팅 할 때  일반 키워드 타겟팅과의 차이점이 있는데 맞춤분야나 맞춤의도 타겟팅은 사용자 대상이고,

키워드 타겟팅은 웹사이트나 동영상 미디어 콘텐츠, 앱등을 대상으로 한다.

즉, 맞춤 분야나 맞춤 의도의 타겟팅은 해당 키워드를 검색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광고를 보여주고  키워드 타겟팅은 해당 키워드가 포함된 콘텐츠를 대상으로 광고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관심분야를 타겟팅하여 광고 할때  다양하게 카테고리를 추가할지, 노출 범위를 어느 정도로 포함할지, 광고 경쟁 입찰가를 얼마로 잡아야 할지 고민해야 할 부분이 많고 복잡하다고 생각한다. 

 

5. 유사 잠재고객
이 방식은 기존의 고객처럼 유사고객을 신규로 찾아주기 때문에 새로운 고객을 찾기 위해 막연하게 고민하며 시작하지 않아도 된다.
유사 잠재고객 타겟팅은 기존 리타겟팅 고객 목록과 일치하는 사용자와 유사한  특징이 있는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한다.  목록 중복을 없애기 위해 기존의 목록은 유사 잠재고객 분류에서 자동으로 제외된다.